멋쟁이 사자처럼 - 그로스 마케팅

[멋쟁이 사자처럼] 그로스 마케팅 day4

GM라이언 2025. 6. 25. 12:52

 

 

 

척추요정이 척추 좀 피라고함

 


오늘은 아침잠을 깨워 주시기 위해 간단한 미션부터 시작했다.

 

흠.. 이걸 어떻게 팔아야 되지? 아무리 생각해도 남자는 결정권이없다.. 

그럼 누구를 노려야 하고 누구를 설득해야 할까? 혼자 고민하다 보니 자주 가던 술집 사장님이 사실 사주랑 타로를 볼줄 모르지만 볼줄 안다고 거짓말을 치며 그럴 싸한 말을 했던게 기억이 났다. (사장님의 이 행동은 추가 구매와 충성 고객? 까지 유치했다..!)

내 답은 '아이스크림 하나 사면 타로 봐줄게' 였다.

타로랑 사주를 그렇게 믿지 않지만 뭔가 좋은 말을 듣게 된다면 혹하는게 인간 심리라고 생각했다.

 

이후에 강사님은 예전에 봤던 영화인 'The Wolf of Wall Street' 라는 영화의 모티브가 되었던 조던 벨포트의 말을 인용하며

Sales의 핵심은 아래의 3개에 있음을 강조 하셨다.

1.단순히 고객을 설득해서는 안된다.
2.공급자 관점에서만 제품의 장점을 어필해선 안된다.
3.고객의 방어기제를 발동시켜선 안된다.
→ 결국 고객을 이해해야 한다!

 

고객을 이해하기 위해선 '시장 분석' , '타겟 세분화' 가 선행 되어야 한다!

3일차에서는 문제 정의와 핵심 지표들을 알아 봤다면 4일차는 타겟 세분화와 시장분석에 대해서 알려주셨다.

Target Segmentation(타겟 세분화) - Target Persona
- Customer Journey Map
- VP(Value Promise)
Market Search(시장 분석) - Desk Research
- Field Research

 

1. Target Segmentation(타겟 세분화)

마케팅 분석 Framework

 

3C 분석기업(Company), 고객(Customer), 경쟁사(Competitor)의 세 요소를 중심으로 시장을 분석하는 프레임워크

 

1) Company(기업 분석)
• 기업의 내부 역량, 자원, 브랜드 가치 평가

• 경쟁 우위 요소 파악 

2) Customer(고객 분석)
• 시장 세분화, 고객의 니즈, 행동 패턴, 충성도 분석 • 타깃 고객 명확화 

3) Competitor(경쟁사 분석)
• 경쟁사의 강점, 약점

 

SWOT 분석내부 강점·약점외부 기회·위협 분석.


STEEP 분석: 사회, 기술, 경제, 환경, 정치적 요인 등 거시 환경 분석.


4P 분석: 제품(Product), 가격(Price), 유통(Place), 프로모션(Promotion)

학교 다닐때 지겹도록 했던 분석들.. 그래도 오랜만에 보니까 반가웠다.

1-1) 타겟 페르소나

• 자사 제품/서비스를 실제로 사용하거나, 실제로 매출이나 성장에 기여하는 핵심고객의 "이상적모델"
• 고객한명을 규정하는 고객 페르소나, 비슷한 성향을 지닌 고객을 집단으로 묶은 집단 페르소나로 분류

• 한명의 가상인물을 만들어 성격과 취향, 구매패턴 등 을정의
• 타겟이 명확하고, 타겟들의 성향이 다양하지 않은 소규모 or 신규비즈니스에서 적합

페르소나 설정시 고려해봐야할 질문

1-2) Customer Journey map

• 소비자가 특정상황에서 우리제품/서비스를 어떤 목적, 맥락, 동기로 사용하는지에 대한 구체적 시나리오
• 소비자가 어떤 상황에서 어떤 가치와 경험을 기대하며 자사 제품을 사용하는지를 가설 기반으로 정의

Use case 설명
고객 페르소나(Persona) 해당 Case의 주된 사용자 유형(나이, 직업, 관심사 등)
사용 동기/목적(Problem) 고객이 어떤 문제점을 갖고 있고 왜 해당 제품/서비스를 필요로 하는지
고객 여정 흐름(Funnel) 주요 행동 단계(접속 탐색→구매→사용→후기)
대체재/경쟁 상황(Alternative) 고객은 왜 타사의 제품이 아닌 해당 제품을 선택하는지?
성공/실패 기준(Aha-Moment) 고객이 성공적인 경험이라 느끼는 조건, 실패 시 이탈원인

1-3) Value Promise(VP, 가치약속)

왜 고객이 해당 제품을 선택해야 하는지를 구체적인 혜택으로 제시

단순한 기능설명 x,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고, 기대를 실현하며 경쟁사 대비 차별적 가치를 전달하는 것이 핵심

작성공식 - '특정상황에 처한' 고객에게 '구제척 가치(혜택)'을 제공한다.

요인 고객 상황/니즈 VP(가치 약속)
전문성    
심리적    
실용적    
경제적    
경험적    

 

자 여기서 즐거운 조별발표 ^^

해당 Framework를 기반으로 팀원들과 함께 '나만의 Persona'를 만들어 보았다. 

사실 시간이 촉박해서 팀원들 모두 자기 자신을 persona로 설정하고 만든것 같았다. (강사님 시간이 너무 촉박해요..)

 

일단 양식대로 하긴했는데 아직 까지는 잘 모르겠다. 만들어본 경험이 적어 시간이 오래걸렸을 뿐더러 적용하고 실험 해본적이 없어 실질적으로 이렇게 하는게 도움이 되는지? 까지는 안해봐서 모르겠다. 빨리 뭔가 해보고싶다.

2. Market Search(시장 분석)

구분데스크 리서치(Desk Research) VS 필드 리서치(Field Research)

정의 - 기존에 존재하는 데이터 정보를 수집 & 분석
- "책상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실제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직접적인 데이터 정보를 수집 & 분석
조사 방식 - 인터넷 자료
- 보고서
- 학술 논문
- 통계 자료
- 온라인 커뮤니티/블로그/리뷰
- 심층 인터뷰
- 설문조사
- 사용자 관찰
- 이해관계자 인터뷰
- 포커스 그룹 인터뷰
- 현장 그림자 관찰
조사 항목 - 시장 조사: 현재 시장의 트렌드와 성장 가능성 파악
- 경쟁사 조사: 경쟁사 제품/서비스 강점·약점 분석
- 사용자 조사: 기존 사용자 행동 패턴, 니즈 파악
- 이해관계자 조사: 관계자 기대와 요구 조사
- 개별 사용자와의 심층 대화
- 서비스 관련 관계자 인터뷰
- 다양한 그룹 인터뷰로 인사이트 수집
- 타깃 설문조사(정량/정성 데이터)
장점 - 방대한 정보 수집
- 비용이 저렴함
- 신속하게 자료 조사와 분석
- 실시간 사용자 반응과 관찰로 생생한 의견 수렴
- 예상치 못한 인사이트 발견 효과적
단점 - 기존 자료이기 때문에 최신 정보가 아닐 수 있음
- 깊이 있는 통찰 부족
-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됨
- 조사자의 주관적 해석 개입 가능
활용 예시 - 시장/산업/환경 파악(보고서, 논문, 통계 등)
- 경쟁사 리뷰, 소비자 의견 분석
- 실제 유저 인터뷰(“왜 우리 제품을 선택했는지?”)
- 고객 설문조사(정량·정성 데이터 수집)

 

 

*데스크 리서치 참고 사이트*

사이트명 링크 설명
네이버 데이터랩 https://datalab.naver.com 시장의 흐름, 고객 니즈 변화, 경쟁사와 자사 브랜드 파워 등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검색어 빅데이터 서비스 플랫폼
구글 트렌드 https://trends.google.com/trends 구글 검색량을 기반으로 트렌드 및 관심도 추이를 비교·분석할 수 있는 사이트
컨슈머 인사이트 https://www.consumerinsight.co.kr 국내 소비 전반에 대한 다양한 트렌드 및 리포트 보유. 대규모 패널 기반의 신뢰성 높은 리서치 제공
네이버 키워드 도구 https://searchad.naver.com 네이버 광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공식 키워드 분석 도구. 검색량, 경쟁사, 연관 키워드, 월별 트렌드 확인 가능
나스미디어 정기보고서 https://www.nasmedia.co.kr 매달 디지털 미디어·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발행. 시장 및 광고 시장 분석
블랙키위 https://blackkiwi.net 마케팅 등 5종 주요 포털의 키워드 검색량, 경쟁사, 연관 키워드 등 다양한 키워드 데이터 제공
DMC 리포트 https://www.dmcmedia.co.kr/press/press15 마케팅 디지털 트렌드 및 시장 전망 리포트 발행(일부 유료)
대학내일20대연구소 https://publy.co/profile/113761 MZ세대 및 트렌드 리포트 발행. 세대별 소비 패턴, 라이프스타일 분석
썸트렌드 https://some.co.kr 소셜미디어·뉴스 등 온라인 빅데이터 기반 트렌드, 감성, 연관어, 해시태그 등 다양한 데이터 분석

 

우리는 이러한 Market Research(데스크/필드리서치)를 통해,
USP(Uique Selling Point)를 도출해야한다!

 


소비자니즈에 따른 컨텐츠 전략
: 소비자의 인지편향과 다양한 심리적 요인을 이해하고, 이를 근거로 컨텐츠를 설계해야한다.

 

자 그러면 이러한 인지편향과 다양한 심리적 요인에는 무엇이 있을까?

 

1. 휴리스틱(Heuristic)
소비자가 빠르게 판단할 수 있도록 직관적 메시지·구조 제공.
예: 원클릭 구매, 직관적 UX.


2. 전문가 편향(Authority/Expert Bias)
전문가, 인플루언서, 셀럽의 추천·보증 활용


3. 사회적 증거(Social Proof)
리뷰, 실시간 구매, 인증샷 등 타인의 행동 강조.


4. 즉각성(Immediate Gratification)
즉시 할인, 빠른 배송, 즉각적 리워드 제공.


5. 희소성/결핍(Scarcity/Deficiency)
한정 수량, 시간 제한, 결핍 진단 및 해결책 제시.


6. 무료(Zero Price Effect)
무료 샘플, 무료배송, 1+1 등 ‘공짜’의 매력 활용.



7. 리포지셔닝(Repositioning)
브랜드/제품 이미지를 시장 변화에 맞게 재정의.

ㅋㅋㅋㅋㅋㅋ 강사님이 알려주신게 멋쟁이사자처럼 부트캠프 홈페이지에 그대로 적용이 되어있다!

그냥 블로그 쓰다가 뭔가 새로운 예시 찾고 싶어서 들어갔더니 하나하나 사례를 거의다 찾을 수 있었다.

못찾은건 유명인이나 인플루언서의 보증 정도? 이정도면 거의 올인원 패키지다.


강의 끝나고 뭔가 실습하고 블로그 정리하려다 보니 이틀동안 운동을 쉬었다.. 몸이 뻐근하고 뭔가 더 피곤해진것같다. 다시 갓생 살아야지... 블로그가 이렇게 힘들줄 몰랐다. 공부랑 같이해서 그런가.. To do list는 매일매일 실천하려고 했는데 못할거 같아서 특정한 날에만 하고 일주일 목표를 지정하고 세부적으로 하는게 나을 것 같다.